Translation


Aramis D. M. Valverde
M.A. Bioethics Student, New York University
M.S. Cognitive & Information 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Merced


I Am The ICT Convergence Maker: Version 2


Korean Exerpt No. 1

사냥을 통해 생존하던 인류는 작물의 재배와 가축을 사육하는 ‘농업혁명’을 이루어냈고, 크고 작은 변화의 과정을 거쳐 문명을 이룩했습니다. 변화를 통해 눈부신 발전을 겪으며, 18세기에는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산업 혁명’입니다. 도구가 기계로 대체되는 기술 혁신이 주로 논의되는 제1차 산업 혁명은 증기 기관의 발명을 대표적인 예로 듭니다. 이때 다리와 터널, 항만 등과 같은 기반시설 또한 건설되어 물리적인 연결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전기 동력의 등장으로 에너지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2차 산업혁명이 등장했습니다. 전기 에너지 사용과 생산에서의 조립 기술이 더해져 대량 생산 체제가 갖추어지고, 정보혁명인 3차 산업혁명을 통해 컴퓨터로 인한 정보화와 자동화가 이뤄졌습니다. IT의 발전은 물리적 한계를 넘어 온라인의 영역에서 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은 물질 영역과 사이버 영역의 구분이 사라지는 형태로 전개됩니다. 이러한 산업의 발전을 통해 우리는 욕구의 실현, 즉 아이디어의 제품화를 더욱 쉽게 이루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산업화로 디지털 제작 도구의 활용이 활성화되면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아두이노와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품화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필요한 물건을 스스로 제작하는 사람인 '메이커(Maker)‘의 등장에 큰 영향을주었습니다. 메이커들은 직접 물건을 만들거나 컴퓨터로 전자기기를 다루는 등의 작업을 하면서창의력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발견을 촉진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창의적인 만들기를 통해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만든 결과물 및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에 울산청소년과학탐구 연구회에서는 4차 산업의 핵심 분야 중 아두이노 활동을 통해 ICT 융합 메이커가 되기 위한 교육 활동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PBL 교육 진로 탐색을 하고자 합니다.


English Translation Further Edited for Flow from Inital Verbatim Translation

Humankind has gone through multiple defining chapters in its evolution. The physically weak species which initially survived through hunting and gathering, made its first great leap forward by growing crops and raising livestock. This “Agricultural Revolution“ directly lead to the rise of human civilization and society. Through multiple compounding changes Humankind underwent immense development and in the 18th century these changes culminated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1st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echnological innovation replaced tools with machines, takes the invention of the steam engine as its prime example. At this time,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s, tunnels and ports were also built, greatly expanding the physical pathways between places and goods. These changes led to the 2nd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as defined by the advent of electric power and is therefore also called the “Energy Revolution“. The use of electric energy and assembly lines in production helped establish a system of mass production, and its development continued through to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e ”Information Revolution“. Computerized information and automation have allowed Humankind to create and manipulate objects without expending energy to physically instantiate those objects, and gave humanity a separate realm to build and explore in. Finall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unfolding as the division between the material domains and informational domains disolves. The development of these industries has made it easier for us to realize our goals and to commercialize our ideas. As the use of digital production tools has expanded due to industrialization, it is possible to commercialize and develop our ideas cheaply by using Arduino boards and 3D printers.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as led to the democratization of production and the rise of the “Maker“. A “Maker” is a person who makes necessary objects by themselves. Makers use their creativity to solve problems, create new things, or promote discoveries making things themselves or solving problems with electronic devices or computers. In addition, through innovative creation, we can implement ideas and share our results and experiences with others. As such, the Ulsan Youth Science Research Society intends to explore the ability of PBL (Project Based Learning) education using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to assist students in becom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mak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re areas and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amely by executing projects using block code and Arduinos.


Korean Exerpt No. 2

LED는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 발광다이오드라 부릅니다. 다이오드라는 것은 전류 를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언하는 반도체 소자를 말하는데, 발광다이오드는 전기 에너지를빛 에너지로 변환하여 밝은 빛을 내보내는 다이오드를 말합니다. 다른 다이오드와 마찬가지로 LED는 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는 +극에서 –극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방향으로 연결해야 빛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압이 낮은 동안은 전압을 올려도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고, 빛을 내지도 않습니다. LED는 2개의 전극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다리는 양극(Anode), 짧은 다리는 음극(Cathode)라고 합니다. 긴 다리에 (+) 전극을 연결하고, 짧은 다리에 (-) 전극을 연결하면 LED가 켜집니다. 대표적인 출력장치인 LED는 디지털 반도체 소자이기 때문에 다양한 밝기와 색 조절이 가능하고,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자라는 점으로 인해 얻는 또 다른 장점은 작은 크기입니다. 쌀알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공간 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LED는 기존 백열등 대비 1/5 수준의 전력만 소비합니다. 현재 1만에서 5만 시간에 이르는 반영구적인 수명은 백열등에 비해 15배 이상 더 길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루 10시간씩 1년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기본적으로 30년 이상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 측면에서도 기존 조명 대비 전기요금이 최대 87% 수준으로 됩니다.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에 대해 강한 내구성과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전구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도 밝은 빛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LED는 휴대전화, 조명기구 등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English Translation Further Edited for Flow from Inital Verbatim Translation

LED stands for Light Emitting Diode. A diode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guides current flow in one direction, and a light-emitting diode refers to a diode that emits bright light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Like other diodes, LEDs have polarity. The current flows from the + pole to the - pole, so it must be connected in the right direction to emit light. LEDs consist of two electrode terminals. The long leg is called an anode and the short leg is called a cathode. Connect the (+) electrode to the long leg, and the (-) electrode to the short leg to turn on the LED. LEDs, which are representative output devices, are also digital semiconductor devices, so they can be adjusted to various brightnesses and colors, and they are highly efficient and have a long lifespan. Another advantage of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is its small size. LEDs are smaller than a grain of rice and consume only 1/5 of the power of conventional incandescent lamps, saving energy and money as well as space. Currently, the semi-permanent life span of 10,000 to 50,000 hours is up to 15 times longer than an incandescent lamp’s life span, so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more than 30 years, assuming that you use them 10 hours per day year-round. In terms of cost, electricity rates are up to about 87%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ing. Because of these advantages, LEDs are widely utilized, and are used in everything from mobile phones to lighting fixtures.